반도체 벨트의 위기: 경기도 남부 미분양 사태 심화
경기도 남부의 반도체 벨트로 불리며 주목받았던 평택, 이천, 오산 지역이 최근 미분양 아파트의 '무덤'으로 전락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경기도청 자료에 따르면, 이들 지역의 미분양 아파트 물량은 지난해 11월 말 기준 총 5,457가구로, 2023년 말 대비 10배 이상 증가했다. 이는 경기도 전체 미분양 물량(1만 521가구)의 절반을 차지하는 수준이다.
평택: 미분양의 중심지
평택은 미분양 문제의 핵심 지역으로 부상했다. 화양지구(현덕면)에 위치한 신영씨앤디의 999가구 규모 단지에서는 852가구가 미분양 상태다. 또 다른 단지인 동문건설의 경우, 753가구를 분양했지만 신청자는 280가구에 그쳤다. 대형 건설사들을 제외한 4~5개 단지에서는 특가와 할인 분양을 시도하고 있지만, 상황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다.
이천·오산: 비슷한 어려움
이천과 오산 지역 역시 사정은 마찬가지다. 롯데건설이 이천 안흥동에서 시공한 801가구 규모의 아파트 단지는 639가구가 여전히 미분양 상태다. 현대엔지니어링이 오산 병점역 인근에 공급한 970가구의 단지에서도 602가구가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천은 6개월 연속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이는 수도권에서 유일한 사례로, 지역 시장의 어려움을 보여준다.
반도체 벨트의 급등과 급락
2019년 문재인 정부가 발표한 반도체 벨트 조성 계획으로 인해 평택, 이천, 오산 지역의 부동산 시장은 큰 관심을 받았다. 20212022년에는 집값 상승률, 외지인 매매 비중, 갭투자 비율 등이 전국 최상위권을 기록하며 집값이 폭등했다. 하지만 이후 공급 과잉 우려가 제기되면서 시장은 급격히 조정을 거쳤고, 최고가 대비 3040% 하락한 아파트가 속출했다.
매매 심리와 매물 상황
부동산 매매 심리도 지난해 반등세를 보였으나 최근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2주간 평택 아파트 매매가격은 0.33% 하락했으며, 이천(-0.24%)과 오산(-0.13%) 역시 경기도 평균(-0.05%)을 상회하는 하락 폭을 기록했다.
부동산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올해 1월 20일 기준 평택의 아파트 매물은 1만 1,296건으로 2년 전(5,534건) 대비 2배 이상 증가했다. 이천(2,348건)과 오산(2,575건)도 같은 기간 각각 52%, 41%의 증가세를 보였다.
입주 물량과 장기 침체 우려
이 지역의 부동산 시장 침체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가장 큰 이유는 과도한 입주 물량이다.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평택의 경우 올해부터 3년간 약 2만 8,0003만 1,000가구가 입주할 예정으로, 적정 수요(2,8003,000가구)의 10배에 달한다. 이천과 오산 역시 적정 수요의 2~3배에 해당하는 입주 물량이 대기 중이다. 반도체 벨트 투자 지연도 시장 회복을 더디게 하는 요인이다.
양극화와 지역별 전망
전문가들은 향후 경기도 남부에서 지역 간 양극화가 심화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평택 내에서도 고덕·지제 지역은 상승 가능성이 있는 반면, 화양지구가 있는 서평택은 침체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경기도 남부에서 빅5 지역(수원·용인·고양·화성·성남)과 평택·이천·오산 간의 격차가 더욱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반도체 벨트 내에서도 세분화와 파편화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나의 목표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부평구 산곡동 ‘부평 두산위브 더파크’ 임대세대 분양 매각! (0) | 2025.01.29 |
---|---|
수도권 분양시장, 7호선 역세권의 뜨거운 인기와 이유 (0) | 2025.01.27 |
서울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검토: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전환점? (0) | 2025.01.21 |
새로운 시대를 여는 한남4구역 재개발, 삼성물산 수주 "래미안 글로우 힐즈 한남" (0) | 2025.01.20 |
부산 이편한세상 국제금융시티 총정리! 더블역세권과 북항재개발, 대단지 신축의 모든 것 (0) | 2025.01.16 |
댓글